반응형

엑셀에는 함수가 엄청 많아요

몇개나 되는지 알아보려고 했는데, 뭐..찾기 어렵네요..의미도 없고..

 

제일 먼저...

논리함수에 대해 알아보아요~ 왜? 제일 간단하고 많이 쓰니까..

 

논리함수 얘기 하기 전에....

논리함수는 주로 IF함수 안에서 쓰입니다.

IF함수는 조건에 맞는 경우,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반환할 값이나 함수를 지정하는 함수에요

=IF(logical_test,value_if_true,value_if_false)

이런 형태로 쓰는데, 제일 첫번째 인수가 logical_test에요... 

이 자리에 지금부터 얘기할 논리함수와, 앞서 포스팅한 비교연산자가 주로 쓰이게 되죠..

 

IF로 표현할수 있는 수식을 예를 들어 그냥 말로 표현하면

 ㅇ 60점이 넘으면 합격, 아니면 불합격

 ㅇ 학사이상이고, 60점 이상이면 기사시험 합격, 아니면(둘중 하나라도) 불합격

 ㅇ 논문을 썼거나, 추가과목을 수강했으면 석사졸업, 아니면(둘다 안했으면) 졸업불가

뭐 이런 예가 있겠네요..

 

1. AND

AND는 말 그대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참(TRUE)를 반환하는 함수에요

다른 말로는 논리곱이라고 해요

참인 경우를 1, 거짓인 경우를 0 이라고 하면

하나라도 0이면 곱셈의 결과가 0이 되는 것처럼

AND함수의 인수가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면 FALSE를 반환하게 되요

AND함수는...

=AND(logical1, [logical2]...)

형식으로 쓰는데, 위의 logical1, logical2 등이 인수이고, 하나라도 거짓이면 AND함수 자체가 false를 반환하게 되죠..

 

 

2. OR

OR은 AND와 달리 조건을 하나라도 만족하면 참(TRUE)를 반환하는 함수에요

다른 말로는 논리합이라고 해요

이건 있다와 없다로 생각하면 쉬운데... 

있는 경우를 1, 없는 경우를 0 이라고 하면

1+1=1(있다)

1+0=1(있다)

0+1=1(있다)

0+0=0(없다)

와 같이 되지요...(써놓고 무슨 소린지 잘 모르겠네요..)

OR함수는

=OR(logical1, [logical2]...)

처럼 AND함수와 쓰는 방법은 똑같아요...

 

3. NOT

NOT은 아니라는 뜻이죠?

논리값의 결과(TRUE, FALSE)를 반전시키는(값을 반대로 바꾸는) 함수에요

NOT(TRUE)=FALSE가 됩니다.

이 함수는.....

IS..함수와 함께 쓸수 있어요

물론 다른 논리함수와도 쓸수 있는데, 저는 써본적 없구요

IS..함수는... 예를 들어

ISERROR함수와 함께 쓰면

IF(NOT(ISERROR())............) 이렇게 쓸수 있는데

ISERROR는 인수의 값이 ERROR라면 TRUE이고

우리가 원하는건 ERROR가 아니라면 TRUE를 반환시키고 싶다면 위와 같이 쓸수 있어요...

 

파일도 없고, 

예제도 없고..

뭔가 맹숭 하긴 하지만 

오늘은 여기서 줄입니다.~~

 

모드 슬기로운 엑셀생활 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